소방점검(종합점검,작동점검)

소방자체점검(소방종합
점검/소방작동점검)이란 ?

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(소유자, 관리자, 점유자)은 소방시설등에 대해서 자체점검을 실시하여 관할 소방서에 보고 해야 한다.
소방작동점검은 년 1회 관계인이나 소방시설관리업체에서 점검해서 관할소방서에 보고 해야 하고 소방종합점검은 소방시설관리업체에 의뢰하여 년 1회 점검해서 관할 소방서에 보고해야 합니다

♦ 소방자체점검의 구분

● 소방작동점검 대상
소방안전관리자 선임 대상 특정소방대상물
제외 대상: 소방안전관리자 미선임 대상, 위험물 제조소등, 특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

● 소방종합점검 대상
신규 설치된 소방시설 (소방최초점검)
스프링클러 설치 대상
물분무설비 설치 + 연면적 5,000㎡ 이상
일정 규모 이상 다중이용업소
제연설비 설치 터널
공공기관(연면적 1,000㎡ 이상) 중 옥내소화전 또는 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 대상

♦ 점검 유형 자격 인력

  • 작동점검 관계인 :  소방시설관리사, 소방기술사, 특급점검자 (대상시설에 따라 상이)
  • 종합정밀점검 : 소방시설관리사, 소방기술사

♦ 세대별 점검 (아파트 등)

  • 2년 주기 전 세대 점검
  • 원격 점검 가능 시 → 매회 전 세대 점검원격 점검 불가 시:
  • 작동점검: 전체 세대의 50% 이상
  • 종합점검: 전체 세대의 30% 이상자가점검 가능: 입주민은 소방청 안내 영상 및 서식 활용 자가점검 후 관리자에 제출

♦소방시설등 자체점검 시기와 횟수

구분시기 및 횟수 요약

소방작동점검

연 1회 이상∙ 종합점검을 받은 달로부터 6개월째∙ 종합점검 미대상은 사용승인일 달의 말일까지
소방종합점검연 1회 이상(특급 대상은 반기 1회)∙ 최초점검: 사용승인일로부터 60일 이내∙ 정기점검: 사용승인일이 속한 달 내

소방안전에 대한 성실하고 기술력있는 회사를 찾으십니까? 해답은 소방안전관리대행 및 소방점검 전문업체 주식회사 조은이앤씨에 있습니다!

error: Content is protected !!
위로 스크롤